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자동차로 유럽여행
- 단양 방곡사 회주 묘허큰스님
- Heart
- 방곡사 두타선원
- 해파랑길 770㎞ 이어걷기
- 방곡사 스리랑카 성지순례
- 경주 남산
- 전통사찰순례
- 묘허큰스님
- 방곡사 주지 정봉스님
- 갈맷길
- 마애불순례
- 묘허큰스님과 함께 암자순례
- 묘허큰스님과 함께 마애불순례
- 하트
- 남해안길 2
- 방곡사 주지 법봉스님
- 묘허큰스님과 함께 전통사찰순례
- 제주올레
- 음력 20일 방곡사 지장법회
- 단양군 대강면 방곡리 방곡사
- 부산 구덕산 정수암 주지 무아스님
- 묘허큰스님 법문
- 방곡사 회주 묘허큰스님
- 방곡사 적멸보궁 진신사리탑
- 단양 방곡사
- 방곡사 무문관 두타선원
- 큰스님 법문
- 회주 묘허큰스님
- 해파랑길 770㎞이어걷기
- Today
- Total
목록♡ 내가 사는 세상/같은 듯 다른 제주역올레 437km (51)
나는 사소한 것에 목숨을 건다~♡

월정해수욕장으로 밀려 들어온 파도가 모래 사장에 그림을 그리고 있다.아무리 봐도 질리지 않는 아름답고 평화로운 풍경인데, 혼을 쏙 빼놓는 바람에 카메라를 들고 있는 손이 부들부들 떨렸다. 함덕해변에서 바라보는 '서우봉' 보다는 '서우봉'에서 바라보는 함덕해변이 훨씬 아름답다. 동양의 음양오행 사상을 공간적 짜임새로 형상화하여 완벽한 사랑을 상징한 작품이란다.화수목금토 오행의 섭리 속에 남과 여, 음양의 조화가 빚어지게 됨을 조형물 속 커플 의자에 마주 앉아 손잡고 확인하는 자리.네 귀퉁이의 제주석 조형물은 12달 4계절에 피어나는 모든 꽃들을 피게 한다는 의미이다. 1시가 넘어서 부근에서 점심 먹을 기대에 차 있었는데 마땅히 들어가고 싶은 식당이 없어서 한참을 헤매다가 (내가..

(3월22일 토요일) 오늘도 바람은 변함없이 불어대지만 아침 해의 위안을 받으며 숙소 앞 버스 정류장에서201번 버스 탑승 후 20분 후에 어제 탈출했던 '남흘리'정류장에 내려섰다.오늘 걸을 '제주올레 19코스'는 조천만세동산에서 출발해 김녕서포구까지 19.4km를 걷는 코스이다.(역올레를 걷는 우리는 김녕서포구에서 출발해 조천만세동산까지 걷는다.) 어제 김녕서포구에서 남흘동 정류장까지 걸어 온 만큼 이 곳에서 출발한다.(09시30분) 골목 끝 벽화에 빵 터졌다. 그림 속에서 걸어나 온 것 처럼 댕댕이 두 마리가 한 방향을 바라보며 앉아있다. 밭담길 그리고 아직은 정체를 드러내지 않고 있지만 멀구슬나무가 곳곳에 포진해 있다. 키 큰 나무 숲을 지나니 내 키가 커졌다.'박노해 걷는 독..

'행원포구'에서 20코스 중간 스탬프 간세를 지나서 이제 월정리로 간다~~~ 길은 해안에서 또 잠시 밭담길로 올라 섰다가 멀리 가슴 두근거리게 하는 바다 물빛을 안으며다시 해안으로 내려서기를 반복한다. 이제, 멀리 나의 원픽 눈부시게 하얀 월정해변의 모습이 시야에 들어온다. 월정해수욕장 끝에 있는 월정해녀식당에서 성게비빔밥과 전복 뚝배기로 늦은 점심을 먹었다. 달달한 커피를 마시며 해변가 의자에 앉아 있다가 아기자기 예쁜 월정 마을길을 지난다. 잠시 모래 언덕을 넘는가 싶더니 해안도로로 다시 내려서라 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앞바다. '환해장성'은 제주도 해안 전역을 둘러싸고 있는 긴 성으로 총 길이가 약 120km에 달한다..

(3월21일 금요일) 함덕해변 근처 숙소에서 꿀 잠 자고 옆지기는 아침 먹으로 나가고... 커튼을 걷으니 건물 사이로 함덕 바다가 보인다. 여전히 강한 바람이 예보되어 있어 조금 걱정은 되지만...좋다. 숙소 앞 함덕해수욕장 정류장에서 잠시 고민을 했다. 직행 101번을 타고 가다가 201번을 환승할 것인지,조금 오래 걸리더라도 201번을 타고 느릿하게 갈 것인지...고민했던 것이 무색하게 배차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201번 버스가 먼저 도착하고 승차, 어제 다 걷고 버스를 탔던 해녀박물관입구 정류장 건너편에서 하차했다.(40분 소요) '해녀박물관'입구 공원의 '제주해녀 항일운동기념탑' '제주올레 20코스'는 김녕 서포구에서 출발해 제주해녀박물관 까지 17.6km 걷는 코스이다.우리는 역올레..

'석다원' 건너편의 멋진 '올레21코스' 중간 스탬프 간세. 이 구간은 해안도로를 걷지만 유난히 아름다운 바당과 함께 하는 길이라 불만이 있을 수 없다.그런데 바람이 불어도 너무 세차게 분다...잠시 해안길을 벗어나 밭담길로 들어서라 한다. 길 건너 보이는 유니크한 풍경은 흔히 볼 수 없는 특별한 방어진지 '별방진'이다. 어디든 기댈 곳만 있으면 극악스럽게 손을 뻗치는 송악. 마을의 식수로 봉천수와 용천수를 이용해 오다가 1930년대에 들어서 동네 마다 우물을 팠는데, 이 우물은 마을에서 가장 오래된 서문동 우물로, 1601년의 문서에도 우물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 성곽 옆으로 노란 유채 꽃 물이 흐르는 듯 보인다. 면수동(面水洞)..

(3월20일 목요일) 08시25분 이륙한 비행기 창 밖은 희뿌옇게 뭔가로 뒤덮혀 마치 탈출하는 느낌으로 출발했지만 제주에 내려설 때는 다행히 사뭇 다른 하늘 빛이 맞아주었다....다행이다... 제주 공항에서 이 풍경을 마주할 때 면 '제주로의 여행이 잘 될거야' 라고 말해주는 느낌이 든다. 2번 게이트 정류장에서 잠깐 기다리다가 일주동로 방면으로 가는 급행 101번 탑승했다. 오늘 우리의 목적지인 '제주 올레 21코스' 역올레 출발점인 '종달초등학교' 정류장으로 가기 위해서는세화리에서 201번으로 환승해야 한다. 점심도 먹을 겸 두 곳(세화환승센터, 세화고등학교)중 선택한 세화환승센터에막상 내려서고 보니 주변에 변변한 음식점이 눈에 띄지 않았다. 결국 동네 한 바퀴 거슬러 올라갔다가 다시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