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단양군 대강면 방곡리 방곡사
- 묘허큰스님 법문
- 단양 방곡사
- 제주올레
- 큰스님 법문
- 음력 20일 방곡사 지장법회
- 묘허큰스님과 함께 암자순례
- 전통사찰순례
- 하트
- 방곡사 스리랑카 성지순례
- 해파랑길 770㎞이어걷기
- 방곡사 적멸보궁 진신사리탑
- 남해안길 2
- 갈맷길
- 묘허큰스님과 함께 전통사찰순례
- 묘허큰스님
- 해파랑길 770㎞ 이어걷기
- 자동차로 유럽여행
- 방곡사 주지 정봉스님
- 방곡사 주지 법봉스님
- 단양 방곡사 회주 묘허큰스님
- 회주 묘허큰스님
- Heart
- 방곡사 두타선원
- 경주 남산
- 부산 구덕산 정수암 주지 무아스님
- 마애불순례
- 방곡사 무문관 두타선원
- 방곡사 회주 묘허큰스님
- 묘허큰스님과 함께 마애불순례
- Today
- Total
나는 사소한 것에 목숨을 건다~♡
[전북 고창]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본문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 보물 제1200호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은 신체 높이가 15.7m,무릎 너비는 8.5m이다.
마애불의 양식으로 보면 고려시대의 것으로 추정되지만,조성시기는 신라말기,고려시대,조선시대 등으로 의견이
다양하고 백제 위덕왕 때 검단선사가 새겼다는 전설도 있다.
마애불 머리 위에는 마애불의 장엄함을 위해 설치한 닫집의 흔적으로 네모난 구멍들이 있다.
가슴 아래 복장에는 비밀스러운 기록(비기)이 숨겨져 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었는데,그 내용은 복장 안에
보관된 비기가 알려지는 날 조선은 망한다는 것이었다.
1892년 동학농민혁명 때 동학 접주 손화중이 그 기록을 무사히 꺼내 가져갔다고 한다.
당시 새로운 세상을 열고자 하는 농민들의 염원을 엿볼 수 있는 전설이기도 하다.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안내서 발췌-
마애불 앞에는 기도할 수 있는 천막집도 있다.
워낙 화려한 색감의 자연석이기도 하지만,얕은 조각 임에도
다양하고 섬세한 선들로 표현된 마애불을 바라보면 절로 감탄사가 나온다.
머리 위에는 전실의 흔적으로 네모난 구멍과 구멍에 박힌 목재도 보인다.
상호의 훼손은 없는데 전실은 어디로 갔는지...
전실 까지 남아있었다면 얼마나 환희심나는 아름다운 마애불의 모습이었을까?
그런데 자세히 보면 좀 이상한 점이 발견된다.
마애불에 이미 조각된 부처님 미간백호가 있는데,그 아래 엉뚱한 곳에 굳이
뭔가를 붙여서 미간백호를 표현한 그 모습이 보기 거북하고 우스워졌다.
아마도 나중에 손을 댄 부분이 아닌가 싶다.
그리고 비밀스러운 기록이 숨겨져 있었다는 복장의 흔적이 드러나 보인다.
전설은 전설일 뿐 마애불에도 복장물을 안치했을까?
줄곧 연화좌대 근처를 일렁이는 소나무의 그림자가 굉장히 드라마틱하게 보였다.
'남산 그리고 마애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 석모도] 보문사 마애관세음보살좌상 (0) | 2021.03.11 |
---|---|
[강화 장정리] 보물 석조여래입상 과 오층석탑 (0) | 2021.01.26 |
[안성 매산리]석불입상;두려움을 없애고 소원을 들어주는 태평미륵. (0) | 2019.10.17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문촌리 문수산 마애보살상 (0) | 2019.10.10 |
[경남 거창]북산면 농산리 석조여래입상 (0) | 2019.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