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묘허큰스님과 함께 마애불순례
- 방곡사 두타선원
- 묘허큰스님
- 음력 20일 방곡사 지장법회
- 방곡사 주지 법봉스님
- 큰스님 법문
- 하트
- 해파랑길 770㎞ 이어걷기
- 방곡사 주지 정봉스님
- 경주 남산
- 단양 방곡사
- 방곡사 스리랑카 성지순례
- 방곡사 적멸보궁 진신사리탑
- 묘허큰스님과 함께 암자순례
- 부산 구덕산 정수암 주지 무아스님
- 전통사찰순례
- 묘허큰스님 법문
- 묘허큰스님과 함께 전통사찰순례
- 방곡사 무문관 두타선원
- Heart
- 단양군 대강면 방곡리 방곡사
- 갈맷길
- 자동차로 유럽여행
- 해파랑길 770㎞이어걷기
- 남해안길 2
- 제주올레
- 단양 방곡사 회주 묘허큰스님
- 방곡사 회주 묘허큰스님
- 마애불순례
- 회주 묘허큰스님
- Today
- Total
목록2025/04 (16)
나는 사소한 것에 목숨을 건다~♡

(3월20일 목요일) 08시25분 이륙한 비행기 창 밖은 희뿌옇게 뭔가로 뒤덮혀 마치 탈출하는 느낌으로 출발했지만 제주에 내려설 때는 다행히 사뭇 다른 하늘 빛이 맞아주었다....다행이다... 제주 공항에서 이 풍경을 마주할 때 면 '제주로의 여행이 잘 될거야' 라고 말해주는 느낌이 든다. 2번 게이트 정류장에서 잠깐 기다리다가 일주동로 방면으로 가는 급행 101번 탑승했다. 오늘 우리의 목적지인 '제주 올레 21코스' 역올레 출발점인 '종달초등학교' 정류장으로 가기 위해서는세화리에서 201번으로 환승해야 한다. 점심도 먹을 겸 두 곳(세화환승센터, 세화고등학교)중 선택한 세화환승센터에막상 내려서고 보니 주변에 변변한 음식점이 눈에 띄지 않았다. 결국 동네 한 바퀴 거슬러 올라갔다가 다시 내..

함덕해수욕장 끝자락에 있는 '전이수 갤러리' 걸어가는 늑대들과 카페 괜찮아. 골목 안쪽에 주차를 하고 마당으로 들어섰다. 문을 열자마자 입구에서부터 너무 예쁘다고 호들갑 떨었다. 그리고는 귀한 것은 아끼다가 천천히 보려고먼저 카페 카운터에서 전이수 갤러리 티켓을 끊고 갤러리 관람부터 하고 한시간만에 다시 카페로 돌아왔다. 이름은 카페라고 하지만 이 곳 역시 전이수 작가의 그림들을 관람하는 것 만으로 갤러리처럼 아름다운 공간이다.그런데다 정면에는 기다란 창으로 아름다운 함덕해변과 바다 풍경이 마구 밀고 들어온단 말씀이지.어디서부터 봐야할지 우왕좌왕 하다가 눈길이 이끄는대로 안쪽의 레이스 발런스가 걸린 방으로 향했다. 커피 머신 옆 벽에 그려진 그림은 전이수 작가의 동생 전우태 작가의..

이번에는 제주에서의 5박(3월20일~25일)을 함덕해수욕장과 인접한 숙소를 이용하면서 매일 아침 저녁으로 함덕 해변을 지나쳤지만 '전이수 갤러리'가 이 곳에 있는지 몰랐었다. 서울로 돌아오는 마지막 날 아침에야 갤러리가 오픈 하는 시간에 맞춰(오전 10:00) 숙소에서 3분 거리에 있는 갤러리에 도착했다. (골목에 무료 공영주차장이 있다.) 주차를 하고 입구로 가면서 외벽에 빼곡하게 그려진 그림과 글을 읽으니 갤러리에 대한 기대치가 마구 튀어 오른다. 영낙없이 주택을 개조한 갤러리 전면에는 전이수 작가의 타일 모자이크 벽화가 걸려있다. 갤러리 맞은편의 작은 건물이 카페 '괜찮아' 카페로 들어가 갤러리 관람 티켓을 구입하고 갤러리 바른 관람 안내를 상세히 설명 들었다.(티켓은..

구례 '현천마을'과 지리산 둘레길을 걸어 '시목지'에 들렀다가 서울로 가는 차로 20여 분 이동해서 버스에서 내려선 곳은세찬 바람에 몸을 가눌 수가 없을 지경이었다. 인솔자 선생님께서 분명 가는 곳에 대한 설명을 하셨는데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었다. 이 곳은 '만복사지'... 김시습의 한문소설 '만복사저포기'의 실제 배경이었던 바로 만복사가 있던 터이다. '만복사저포기'는 김시습의 한문소설 금오신화에 들어있는 다섯편의 소설 가운데 첫번째 실려있는 작품으로 죽은 여자와의 사랑을 그린 소설이다.양생은 만복사라는 절에서 부처님과 저포(나무 주사위)로 내기를 하여 젊은 여인을 얻어 가연을 맺은 뒤 재회를 약속하고 헤어졌는데, 그 여인이 3년 전에 죽은 여인임을 알게 된다. 처녀의 부모가 차려놓은 음식을 혼..